사실 이번학기 네트워크 과목을 수강하면서 평소처럼 TIL 형식으로 글을 작성할 계획이다..

오늘은 네트워크 기초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한다.

이번 학기 교재는 요거

1장 네트워크 이해와 설정

네트워크의 사전적 의미 : 모뎀이나 LAN , 케이블 , 무선 매체 등 통신 설비를 갖춘 컴퓨터로 서로 연결하는 조직이나 체계, 통신망

이때, 통신 설비로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한 것을 네트워크라고 한다.

다수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 했을 때의 장점

1. 데이터 공유

하나의 데이터 파일에 해당하는 마스터 사본을 서버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마다 사용자가 마스터 사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네트워크로 공유된 파일을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정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데이터를 읽고 사용할 수 있다.

  1. 읽기 전용 권한 : 이 권한이 있는 사용자는 데이터를 읽기만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변경 불가
  2. 읽기/쓰기 권한 : 이 권한이 있는 사용자는 데이터를 읽고 수정할 수 있다. 이 권한을 가지고 데이터를 수정하면 네트워크의 모든 사용자는 수정된 데이터를 공유한다.

2. 주변 장치 공유

예시로 프린터를 생각해보자, 프린터를 한대 소유하고 유지 보수 할 때마다 금액 부담이 커진다.

이때, 하나의 프린터를 여러명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공유하면 프린터를 중앙집중화 가능해진다.

→ 다수 사용자가 하나의 프린터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보낼 수 있음, 특정 작업에 우선순위 부여 가능

3. 능률적인 통신

쉽게 이메일 송수신을 생각하자

송신자 메일 송신 → 메일서버로 메일 이동 → 메일 서버는 수신자에게 알림 전송 → 수신자의 메일 확인

4. 손쉬운 백업

데이터는 귀중한 자료이므로 데이터는 언제나 백업이 되어야한다.

이때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공유 저장 장치중 하나에 모든 데이터를 손쉽게 백업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규칙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에는 규칙이 필요함 → 프로토콜(추후 설명)

1. 패킷

패킷 :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단위

왜 쓰는지? → 용량이 큰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큰 데이터를 여러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보내는 것이 규칙

큰 데이터를 그냥 보내면 네트워크가 대역폭을 너무 많이 점유하여 다른 패킷의 흐름이 방해할 위험이 있다

대역폭(bandwidth) 이란? →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속도, 기본 단위는 bps

패킷을 수신할 때,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전송한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수신지에서는 분할된 패킷을 원래대로 재결합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대부분 패킷에는 번호가 존재하여 수신측에서 자동으로 합병).

2. 패킷 전송 과정

패킷은 헤더, 페이로드, 제어 요소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세그먼트임.

헤더는 데이터의 형태, 데이터 송수신지, 일련번호 등으로 구성하고, 페이로드에는 실제 데이터를 포함.

  1. 예를 들어 Jin 이란 단어를 전송할 때, 각각 J , i , n 을 이진값으로 변경하여 3개의 패킷으로 분할 하여 전송한다 (이때 헤더에는 순서 혹은 일련번호가 존재한다)
  2. 전송된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랜덤으로 도착 (i - n - J) 순으로 도착한다고 가정하자
  3. 수신 측에서는 패킷 헤더의 일련 번호를 통해 패킷을 재병합하여 원본 데이터인 Jin으로 수신

그림 자료가 있는데, 어차피 나혼자 공부할 것이니 그림 첨부는 생략하겟음..ㅋㅋ

2-1. 비트와 바이트

이진법에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가 비트(bit)

8비트 = 1바이트(byte)

 

다 아는 내용이지만 리마인드 하는 겸 다시 정리해봤다!

그럼 20000